"파워링크 통해 악성코드 유포 논란…" 네이버 대응 강화

네이버 "광고 변질 사례…등록 제한·탐지 체계 보완" 최민희 "플랫폼이 안전장치 마련했어야"

2025-11-26     최지원
파워링크 통해 악성코드 유포 논란…네이버 대응 강화[연합뉴스]

네이버 검색에서 텔레그램을 검색한 후 파워링크로 접속한 사이트에서 앱을 다운받았더니 해당 앱에서 악성코드가 발견돼 이용자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이달 중순 네이버 검색에서 텔레그램을 검색하면 악성코드가 담긴 앱을 다운받을 수 있는 파워링크가 나왔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아울러 최 의원실에 따르면 해당 기간 카카오톡, 네이트온을 검색했을 때도 악성코드가 포함된 앱을 다운받을 수 있는 파워링크가 유포됐다.

파워링크의 경우 네이버의 인증을 받고 광고하는 시스템인 만큼 앱을 다운받으려던 이용자들이 신뢰감을 갖고 링크에 접속했다가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다는 게 최 의원실의 설명이다.

파워링크 통해 악성코드 유포 논란…네이버 대응 강화[연합뉴스]

네이버에 따르면 통상 파워링크는 광고주센터에서 여러 사업자가 파워링크에 입찰한 뒤 경매하는 방식 등으로 낙찰받는다.

네이버는 검수 당시에는 정상적인 링크였지만 검수 이후 실제 파워링크가 운영되면서 악성코드가 포함된 앱을 유포하는 사이트로 변질됐다고 설명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해당 사례는 광고 검수 시에는 정상적으로 통과했지만 이후 부적절한 사이트로 변질된 경우다"라고 설명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이달 중순 악성코드가 포함된 파워링크가 검색창에 공유된 기간은 일주일 이내로 현재는 텔레그램을 검색해도 악성코드가 포함된 파워링크에 접속할 수 없다.

네이버는 유사한 사례가 나타나지 않도록 모니터링 체계를 정비하겠다는 입장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변질이 확인된 즉시 해당 광고를 즉각 중단했다"라며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변질 사이트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등록이 제한되도록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했다"라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네이버 파워링크가 피싱과 악성코드 유포에 이용된 것은 플랫폼의 기본적인 보안 책임을 방기한 것과 다름없다"라며 "네이버는 파워링크 업체 선정 이후에도 사후 관리를 통해 변조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기사